안녕하세요 

YamaRK입니다. 


오늘도 저번에 다뤘던 나무에 대한 상식글을 

여러분에게 알려드리려고 이렇게 

또 몇자 써보네요 ㅎㅎ 


오늘 알려드릴 나무는 바로 참나무입니다 



참나무 제가 아는 나무중에서 참나무가 참 마음에 드네요ㅎㅎ

[봐봐요 나무 이름을 통해서 허접한 말장난도 가능하게 해주잖아요]


아무튼 저는 참나무가 정말 좋은데요 


이름의 기원부터 심플하게 참이냐? 거짓이냐의 참처럼

쉽게 설명하면 진짜 나무 시쳇말로는 혼모노 나무라고 생각하면

쉬울 나무입니다. 


집에서 어머니가 가끔씩 야채와 함께 먹으라고 

겉절이와 함께 도토리묵을 주시는 일이 있었는데

저는 항상 맛있더라구요. 


겉절이의 맛과 씁씁할 도토리묵의 맛


그런 도토리를 주는 나무가 참나무이기도 하고 



그리고 또 제가 좋아하는 표고버섯이 자라는 집에 되어주는

나무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생활에서 고깃집에서 쓰이는 참나무 숯과 

건물을 짓는 목재, 농기구의 자루에 쓰이고 또 선박에도 쓰이는 

참나무 목재는 알게 모르게 우리의 생활과 정말 가까운 것 같아요 ^^


그리고 술을 항상 생각하고 좋아하는 데 

포도주나 위스키 같은 술을 담그는 오크통을 만드는 데도 쓰이죠.


그리고 그런 병의 뚜껑역할을 하는 코르크도 참나무 수피가 쓰여요 


이것저것 생각해봤지만 음... 참나무에 대해 제가 아는 지식이 

여기까지 인것 같습니다 ㅎㅎ 


앞으로도 나무에 대한 지식이나 상식도 다룰 예정이에요 

게임같은 것만 다루면 너무 삭막한 감이 크니까요 ㅎㅎ 




[이미지들은 픽사베이에서 다운받아 이용했습니다 ^^]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는 그곳 '야마의 정보 티스토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YamaRK입니다 ^^ 

이전 글과 마찬가지로 또 하나의 과학 상식을

여러분에게 알려드릴려고 하는 데요 


이번 주제는 바로 밤나무입니다 ㅎㅎ


바로 알아볼까요 ^^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보통 흔히들 밤나무 하면 당연히 달달한 밤이 생각나기

마련인데요 ㅎㅎ 


구워서든, 아니면 쪄서든 ,삶아서든 먹을 수 있는 

달달한 행복으로 정말 완벽한 열매를 가지는 밤나무

과연 밤만 맛있는 게 다일까요? 


정답은 아닙니다 헤헤


바로 밤나무의 꽃에서나오는 꿀은 항산화 효과가 

높으며, 이전부터 한방에서 밤껍질과 밤꽃, 밤나무의 수피까지

약재로 사용해왔는데요 : )


거기에 밤나무는 목재로써도 탁월한 소재입니다 ^^

밤나무가 목재로?? 밤나무가 목재로 탁월한 이유는 바로!


밤나무 스스로 성장해가면서 자신의 세포 전체에 영양물과 물을

공급하기 힘들기 때문에 밤나무는 생존전략을 위해서 

스스로 나무줄기 중심에서 (심재에서 부터)스스로 세포를 죽여 물과 양분의

소비를 줄여나갑니다 '0'


이렇게 물이나 양분을 없앤 심재에는 균이 번식하기 

힘들고 , 밤나무 스스로 합성한 천연 방부재를 심재에

채워 균의 번식을 억제하는데요 


이렇게 심재에 비중이 높을 수록 나무는 잘 썩지 않게 되고

또 이런 밤나무의 침목은 심지어 재질이 단단하고 탄성이 강해서

과거에 철도의 침목이나 여러 건축물에도 쓰였는데요


대표적인 예가 바로 영국의 유명한 웨스트민스터 사원의 건축으로 쓰였을 

뿐만 아니라 여러 다 방면에 활용되었습니다 


장난감이나 가구,기구,토목,선박,차량을 만드는 데도

쓰였으며 ,


조각이나 세공 그리고 칠기등의 목공예에도 쓰였답니다 ^^

그외에도 거문고의 뒷면이나 

방아의 축 절구나 단단한 연장을 만드는 데도 

쓰였다는 사실 정말 놀랍지 않나요 ㅎㅎ



그리고 이 글을 쓰면서 저도 몰랐던 사실인데 

위패나 장승을 만드는 데도 밤나무를 이용했다고 하네요 '0' ! 


그리고 이런 밤나무 목재를 21세기인 현대의 유럽에서도

10층 이상의 고층 건물을 짓는데도 밤나무 목재를

이용하는 프로젝트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D


앞으로 조금더 친환경의 시대로 다가가기 위해서는

우리가 이런 자연이 주는 이점을 조금더 활용하는 것이

아주 중요할 것이라 생각되네요 : )



이렇게 밤나무에 대한 장점에 대해서 짤막하게 소개해 드렸는데 

많이 도움이 되었는 지 모르겠네요 


앞으로 이런 작은 상식들도 제 티스토리의 소재로 알려드릴까 합니다.

[뭐 길게 될지는 ㅎㅎ ]





[위키백과, 천년도서관 숲(책) 참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는 그곳 '야마의 정보 티스토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YamaRK입니다 ^^


오늘은 평소에 다루지 않았던 

과학과 관련된 상식 같은 걸 다룰려고 하는데요


바로 대나무가 어떤 식물인지에 대해서 알려드릴까 합니다 ㅎㅎ


대나무 과연 나무인가 아니면 풀인가 여러분도 헷갈리셨죠? 

오늘 이 주제에 대해서 한번 쭉 알려드리겠습니다 !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대나무(Bambu)는 옛날부터 사군자의 하나로 시인 묵객들의 사랑받는 

나무였는데요 !


충절을 상징하는 대나무는 성장이 빠른 식물로 

다자라면 보통 20M 정도에서 

40M까지도 크는 식물입니다 '0'


이런 대나무는 전세계적으로 92개속에 5000여종이

열대지방에서 , 그리고 북위 50도 사할린 지역까지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는 식물인데요 


[생각보다 많은 수의 종이 있다는 게 너무 신기했습니다 ㅋ]


우리나라에는 4속 14종이 있고

키가 크고 굵은 왕대류와 , 시누대라고 부르는 이대와 ,

그리고 산죽이라 부르는 조릿대가 주종을 이루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종은 왕대류인데요

이런 왕대류 대나무를 풀이라고 해야할지 아니면

나무라고 해야할지 정의하자면 !


(초본식물: 풀)과 (목본식물 :나무)의 구별에 대해서

먼저 알아야 하는데요 


보통 형성층의 활동에 의해서 해마다 줄기가 굵어지는 

비대성장의 여부로 풀인지 나무인지가 결정됩니다 ㅎㅎ


그리고 또 중요한 기준으로 나무에는 수피 안쪽에 형성층이라는 

세포 분열 조직층이 있어 하루에 한 번 정도를 세포분열하고,

이때 새로 만들어진 세포가 안쪽에 점점 쌓이면서 

줄기가 굵어지는 거죠,


대나무의 경우에는 이런 형성층이 퇴화하여

줄기는 해마다 굵어지지 않습니다 '0'


그럼 ! 대나무는 풀이냐?! 라고 결론 지을 수 있는데

대나무는 풀이 아니에요 ㅎㅎ


대나무의 경우에는 형성층이 퇴화하여

줄기는 해마다 굵어지지 않지만


대나무는 조직 해부학적으로는 풀이지만

형성층이 있다가 퇴화한 것이기 때문에 볏과에 

속하는 나무로 인정받는 답니다 :D


그리고 대나무 줄기의 단면에 보이는 물관과 

체관이 관다발 세포벽이 두껍고 강하게 서로 묶여 있어서

줄기가 다른 나무처럼 딱딱하기에 때문에 

일반적으로 나무로 취급되는 데요 ^^


그리고 이런 대나무는 비대성장을 하지 않고

줄기의 경우 첫 한해만 자라고 다음 해에는 

더 이상 굵어지지도 키가 커지지도 않는 특징을 가진

나무입니다 : )


결론은 대나무는 나무라는 사실!

풀로 오해하는 일이 없도록 합시다 ㅎ


 


[위키백과, 천년도서관 숲 참조]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는 그곳 '야마의 정보 티스토리'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