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글은 일종의 추측이다.

개발자들이 공식으로 인정한 적은 없는 부분이니

재미로 받아드리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3 결정판으로 들어서면서

자원의 컨셉이 확정된 경우가 있으니, 바로 경험치다.

 

식량, 목재 , 금, 수출품, 영향력과 달리

경험치라는 자원에 대한 컨셉을 명확하게 한적은 없었으나

인게임에서 여러가지 모습들을 통해서 어느정도 추측을 해볼 수 있다.

 

미국과 멕시코의 시작 자원중에 

 

 

책 컬렉션이 존재하는 편이다.

 

도대체 식민지를 건설하거나 아니면 방어를 하는데 있어서 

책과 두루마리가 왜 필요하냐? 고 물을 수 있는데 

 

법적 체계라던지 아니면 외지에서 살아가는데 있어 필수적인 지식들을 담은 것으로도

볼 수 있다. 

 

결정판 이전까진 경험치 상자가는 개념이 없었던 터라 

경험치 자원의 이미지화는 없었지만 결정판으로 넘어오면서 

정립된 이미지로 보인다. 

 

유럽국가들에 대학이라는 개념이 생기기전

지식과 학문을 연구하던 종교인들이 지식인 역할을 했기 때문에 

 

교회 역시도 경험치/지식을 설파하는 컨셉으로 재정립된걸로 추측된다. 

 

실제로 카드 태그중 대성당에 포함된 여러 요소가 

전투와 관련된 카드들도 많지만 정착민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술들(?)이 많이 포함된 걸 볼 수 있다. 

 

물론 왕권과 국가의 힘을 기르는 수단으로 사용된 중상주의가

의외로 경험치를 주는 특이한 점이 있으나, 이건 결정판이 나오기전에

짜인 컨셉이니 넘어가도록 하자.

 

 

그와 비슷하게도 새로운 지역에서 토착 원주민들과 교류하며

살아가는 지식, 노하우를 전수받는다 라는 컨셉때문인지

 

원주민 교역소 역시도 적지만 경험치를 생산하는 편이다. 

 

 

각 원주민 별로 고유 유닛과 고유 업글을 재공하는 편이며,

어떻게보면 전투 말고도 농사관련된 업글이나 

 

 

건축술, 주민 양성과도 관련된 업글들도 많은 편이다. 

 

그리고 이런 경험치의 이미지를 지식이다라는 컨셉이 

확실하게 느껴지는게 바로 유럽 맵에서 교역로에 등장하는 

 

 

학자라는 인물이다. 

 

책을 들고, 걸어다니면서도 읽는 모습을 통해

당연히 지식과 관련된 컨셉이라 파악되어지고

 

이들이 다니는 교역소 역시도 

 

 

이런저런 서적 관련된걸 팔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런 점들을 미루어볼때 결정판으로 넘어오면서 

경험치는 '지식'이라는 컨셉을 잡은게 확실하다. 

 

 

물론 예외도 있으니...  

 

지식을 담은 책이라고 해서 무조건 경험치와 관련된 것은 아니다. 

 

 

개그성 보물에 가까운 티몬과 툼바, 심바를 패러디한 보물은 의외로

철학 논문인데 하쿠나 마타타 (근심 걱정없이 잘될꺼다)를 패러디한걸로 보인다.

 

암튼 여기까지 재미로 추측을 해본 거기 때문에

재미로만 받아드리자.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는 그곳 '야마의 정보 티스토리'입니다

,

데드락 업데이트가 여러번 거쳐지면서

기존에 외국 빌드와 국내 빌드를 같이 보여주는 방식에서

각 유저 국가별 빌드를 보여주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이런식으로 말이다. 

하지만 단점이 있었으니 ... 유저수가 빠지면서 

국내 빌드들이 과거에 머물어 있으며, 외국에서 만들어지는 빌드를 검색하기

힘들어졌다는 점이다.

 

하지만 설정만 손보면 쉽게 찾을 수 있다. 

 

 

설정-소셜에서 추가 빌드 검색 언어에 사용 안함을 수정하여

영어로 맞춰주면 된다. 

 

 

적용되면 이런식으로 최신 유행하는 빌드들을 손쉽게

찾아 사용할 수 있다. 

 

 

업데이트 날짜를 잘보고, 자기에게

잘 맞는 건빌드, 탱빌드, 스피릿 빌드나 선호 아이템 빌드를 선택해서

사용하면 된다.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는 그곳 '야마의 정보 티스토리'입니다

,

최근에 완전한 컴맹에서 탈출하기 위해서 

제 스스로 컴퓨터에 대해서 찾아보고 익히는 시간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윈도우 10에서 시작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까 싶네요.

[뭣보다도 항상 프로그램을 깔고나면 제가 원하지도 않았는데

시작 프로그램으로 설정되는 일이 잦아서 이렇게 글을 씁니다 ㅋㅋ]

 

 

저도 할만큼 설정 자체가 어려운 편은 아니더군요.

우선 컴퓨터를 키게되면 이런 식으로 컴퓨터를 시작할때

여러 프로그램들이 같이 시작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뭐 대표적인 예로는 카카오톡과 V3정도가 있겠네요.

저 같은 경우에는 에픽게임즈와 스팀 그리고 픽픽이 항상 켜지는 식입니다.

 

에픽게임즈는 자주 쓰지 않는데다가 컴퓨터를 키자말자 스팀이 켜지는게

그렇게 달가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시작프로그램을 설정해야겠다!

라고 마음먹게 되었죠.

 

 

 

 

 

우선 시작프로그램을 설정하는 방법이 다양한데 컴퓨터 화면에서 

7시 방향을 보면 윈도우 이미지가 있습니다. 

 

이 이미지에다가 마우스 오른쪽을 눌러서 작업관리자를 열수 있고

 

 

 

 

아니면 돋보기 모양에 작업 관리자를 입력해서 

작업관리자를 열 수도 있죠.

 

단축키로는 Ctrl+Alt+delete키를 눌러 작업 관리자를 열어도 되죠.

결과적으로 작업 관리자를 켠다는 점에서 세가지 방법다 

결과물이 동일한 편입니다.

 

 

 

 

 

작업관리자를 켜면 이렇게 돌아가는 앱이라던지

아니면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돌아가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저는 '시작프로그램'만을 설정해야하니 시작프로그램을 눌렀죠.

 

 

 

 

 

시작프로그램을 누르면 사용 상태와 사용 안함 상태가

있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거기에 이 프로그램들이 시작 시 영향을 얼마만큼 주는지도 

표시해주죠.

 

여기서 그냥 간단하게 사용할 프로그램과 사용하지 않을 프로그램을 

고르고 체크를 바꿔주면 되겠습니다. 

 

 

물론 작업관리자로도 가능하지만 그냥 시작프로그램을 바로

설정하는 방법이 있어요.

 

 

 

 

 

 

아까와 동일하게 화면의 7시 방향의 돋보기 아이콘에 

기본 앱이라고 치면 뜨는 화면이 있습니다. 

 

[저번에 적었던 "윈도우 10 사진, 동영상 연결 프로그램 변경 글과 별반 차이가 없어요]

 

여기서 시작 프로그램을 누른 이후에 

사용할 프로그램은 켬으로 사용하지 않을 프로그램은 끔으로 바꾸면 됩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작업관리자보다는 기본 앱이 더 쉽네요. 

 

 

그렇다면 아예쓰지도 않는 프로그램이 시작시에 같이 실행이 되고

그 프로그램을 그냥 제거해버리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그냥 앱 및 기능에서 해당 목록을 검색하고

그 프로그램을 제거해버리면 됩니다. 

 

제어판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지워도 상관이 없고요.

 

 

그렇다면 시작프로그램을 추가하고 싶다면?

윈도우 키 + R을 눌러서 

해당 실행창에 Shell:startup을 치면 

 

 

 

 

 

경로는 조금씩 다르지만 여러분의 시작프로그램에 해당되는 폴더가

뜨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냥 여기다가 프로그램을 완전하게 옮겨넣으면 그만입니다.

물론 제가 컴퓨터 생초짜이기 때문에 도움이 될지 안될지는 모르지만 

 

이 글을 읽은 분들이 겪는 문제를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군요.

 

 

 

 

 

 

반응형
블로그 이미지

YamaRK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는 그곳 '야마의 정보 티스토리'입니다

,